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0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90년 01월 10일 전남 화순에서 기록한 떡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CD 12장, 235곡) 는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에서 일부 악곡을 선정하여 2000년 9월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상록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상록 |
해설 | 가창자가 스무살 무렵에 장흥 사는 친구에게 배운 노래라고 한다. 각 지역마다 재료가 다른 갖가지 떡이 등장해 흥미롭다. 떡을 실컷 먹고싶어하는 심정이 나타나 있다. |
가사 | 떡 떡 배피떡1)
기피고물에2) 찬시리떡3) 서울 사람은 설기떡 전라도 사람은 찰떡 들녁 사람은 쑥떡 산중 사람은 칡가리떡4) 해변 사람은 파래떡 제주 사람은 감자떡 황해도 사람은 서숙떡5) 경상도 사람은 기정떡6) 전라도 사람은 무지떡7) 이 떡 저 떡 배를 무어8) 찰떡으로 밑을 깔고 문지떡으로9) 칠을 박고10) 대떡으로11) 돛을 달아 조청강에다 띄워 좋고 북을 두둥둥둥 어기야 디야차 어야뒤야 어허 어야디야 어야디야 어기야디야 차 1)배피떡: 개피떡. 2)기피고물→거피(去皮)고물: 콩, 팥, 녹두 등의 껍질을 벗기고 빻아서 만든 고물. 3)찬시리떡: 찰시루떡. 4)칡가리떡: 칡뿌리로 만든 떡. 5)서숙떡: 좁쌀로 만든 떡. 6)기정떡→기장떡. 7)무지떡: 무시떡, 무떡. 8)배를 무어: 배를 지어. 9)문지떡: 먼지처럼 발이 고운 떡이라 함. 10)칠을 박고: 배의 판자를 이은 사이에 물막이를 하는 것을 일컬음. 11)대떡: 가래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