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0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93년 09월 02일 경북 고령에서 기록한 쌍금쌍금쌍가락지이다. 한국민요대전: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CD 12장, 235곡) 는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에서 일부 악곡을 선정하여 2000년 9월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30902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경상북도 > 고령군 |
언어 | 한국어 |
공공누리 |
미해당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 , CD 12 , 쌍금쌍금쌍가락지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경상북도 , 경북 , 고령군 , 1993 , 2000 , 김분희 , 독창 |
실연자 | 김분희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분희 |
해설 | 예쁜 처녀의 오빠가 처녀 방에서 숨소리가 둘이 나더라는 헛소문을 퍼뜨리자 처녀는 숨소리가 아니라 문풍지 떠는 소리라며 억울해 죽어버리겠다고 한다. 아이들이 놀면서 부르기도 하고, 어른들은 삼삼을 때나 베 짤 때 주로 불렀다고 한다. |
가사 | 쌍금 쌍금 쌍가락지
호작질로1) 닦아내여 먼데 보니 달일레라 젙에 보니 처잘레라 그 처자 자는 방에 숨소리가 둘일레라 홍둘바시 오라버님 거짓말씀 말아주소 동남풍이 딜이부니 풍지2) 떠는 소릴레라 죽고지라 죽고지라 밍지수건3) 목을 매고 자는 듯이 죽고지라 엄마 우리 엄마 요내 나는 죽거들랑 앞산에도 묻지 마고 뒷산에도 묻지 마고 연대밭에 묻어 주소 연대 꽃이 피거덜랑 날만 이기4) 돌아보소 눈이 오마 쓸어주고 비가 오마 덮어주소 1)호작질: 손장난. 따라서 ‘호작질로 닦아내여’는 손으로 열심히 닦아 광을 내는 것을 뜻한다. 2)풍지: 문풍지. 3)밍지수건: 명주수건. 4)이기: 여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