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0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94년 07월 15일 강원 정선에서 기록한 따북따북따북네야이다. 한국민요대전: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CD 12장, 235곡) 는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에서 일부 악곡을 선정하여 2000년 9월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박가무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박가무 |
해설 | 엄마 잃은 소녀 ‘따박네‘가 울며 엄마를 찾아가는 것을 보고 이웃 어른들이 달래는 내용으로 전개되는 노래. 고아가 많았던 옛날의 사회상이 짐작된다. ’따북네‘는 어린 소녀가 지쳐서 ’타박타박‘ 걸어가는 모습에서 나온 이름으로 짐작된다. |
가사 | 따북 따북 따북녜야 너 워두로 울구 가나
울 어머니 몸진1) 골로 젖줄 바래 울구 간다 느 어머니 오마더라 어느 천년 오마던가 뒷동산에 말뼉다구 살 붙거든 오마더라 뒷동산에 말뼉다구 썪기 쉽지 살이 붙나 따북 따북 따북녀야 너 워두로 울구 가나 울 어머니 몸진 골로 젖줄 바래 울구 간다 느 어머니 오마더라 어느 천년 오마던가 실겅 밑에 삶은 팥이 싹 나거든 오마더라 실겅 밑에 삶은 팥이 썪기 쉽지 싹이 나나 따북 따북 따북녀야 너 워두로 울구 가나 울 어머니 몸진 골로 젖줄 바래 울구 가네 느 어머니 오마더라 어느 천년 온다던가 삼년 묵은 쇠뼉다구 살 붙거든 오마더라 삼년 묵은 쇠뼉다구 썪기 쉽지 살이 붙나 따북 따북 따북녀야 너 워두로 울구 가나 울 어머니 몸진 골로 젖줄 바래 울구 가네 느 어머니 오마더라 어느 천년 오마든가 둘른 애기1) 젖 달라고 앉은 애기 밥 달라고 선 애기 신 달라네 내 팔자야 내 팔자야 이내 팔자 가엾구나 1)몸진: 죽어서 누운. 2)둘른 애기: 등에 업은 애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