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아동놀이노래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0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96년 02월 05일 강원 평창에서 기록한 경북의성,동요-앞니빠진아이이다. 한국민요대전: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CD 12장, 235곡) 는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에서 일부 악곡을 선정하여 2000년 9월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정춘, 이범순, 조봉희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이정춘, 이범순, 조봉희 |
해설 | 앞니가 빠진 아이를 놀리면서 하는 노래. 아이들에게는 앞니가 빠진 것이 매우 우습고 이상하게 보이는 모양이다. |
가사 | <평창 동요-앞니빠진 아이>
앞니 빠젼 갈가지1) 뒷니 빠젼 수마니 뒷질루 가다가 호박줄에 걸려서 퍼덕 퍼덕 한다 (반복) <철원 동요-앞니빠진 아이> 앞니 빠진 노장구 삼년 먹은 떡값 내라 (반복) <의성 동요-앞니빠진 아이> 앞니 빠졌는 갈가지 언덕 밑에 가지 마라 송애2) 새끼 놀랜다 산 지슬에 가지 마라 놀개이3) 새끼 놀랜다 마구에 가지 마라 산지4) 새끼 놀랜다 밴소가에 가지마라 굼빙이 새끼 놀랜다 1)갈가지: 범 새끼. 여기서는 앞니빠진 아이를 놀리는 말. 2)송애: 붕어. 2)놀개이: 노루. 3)산지: 송아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