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아동놀이노래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0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95년 01월 11일 여러 지역에서 기록한 동요-다리세기이다. 한국민요대전: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CD 12장, 235곡) 는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에서 일부 악곡을 선정하여 2000년 9월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황서순, 박가무, 이정춘, 구성예, 최수복, 김복례, 이후남, 김순달, 강귀순, 최정희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황서순, 박가무, 이정춘, 구성예, 최수복, 김복례, 이후남, 김순달, 강귀순, 최정희 |
해설 | 두 사람 이상이 마주앉아 다리를 엇갈려 끼우고 다리를 세다가 노래가 끝났을 때 짚히는 다리를 뺀다. 이 과정을 반복해서 마지막에 다리가 남는 사람이 술래가 되어 벌을 받거나 시부름을 한다. 지역에 따라 노래가 다르고 가창자에 따라서도 조금씩 다르며, 한 사람이 몇가지를 부르기도 한다. 노랫말은 별 의미가 없는 말들이 많다. |
가사 | <고성 동요-다리세기>
한알개 두알개 삼사 났다 은동고리 팔때 장군 고드래 똥 (반복) <정선 동요-다리세기> 1) 요거리 저거리 각거리 송구맹근 도명근 짝발이 희약사 모구밭에 독새끼 칠팔월에 무시월 미나리꽁 대 축 2) 고모네집에 갔더니 암닭 수탉 잡아서 기름 동동 뜨는 거 나 한술 안 주고 우리 집에 와 봐라 팥죽 한 글 주나 봐 3) 꼬공 꼬공 꽁스방 자네 집이 어덴가 이 산 저 산 넘다가 덤불 밑이 내 집일세 뭐 먹구 사나 멀구 다래 따 먹다 불알이 홀채 죽었네 <평창 동요-다리세기> 이거리 저거리 각거리 전도 만도 도만도 육지 육지 전라도 전라감사 소래 아랭이 다랭이 경상도 목을 걸구 각지 파랑 목 판 (반복) <서천 동요-다리세기> 이거리 저거리 각거리 천사 만사 주먼지끈 돌아 간다 장주칼 요 땅게 소머리땅게 꼬 빠 끔 (반복) <중원 동요-다리세기> 한알개 두알개 삼사 나그네 헌다지 꽃다지 바람에 쥐새끼 영낭 거지 팔대장군 고드래 짱 (반복) <청원 동요-다리세기> 콩하나 팥하나 양지 종지 가락구 속구 넙덕 산이 올랑 촐랑 진대 막대 고양 감토 불무 때콩 (반복) <장수 동요-다리세기> 한다리 천다리 귀리 나리 어룽 더룽 성장 막대기 껑꺼 우둥 지둥 뗑! <군위 동요-다리세기> 달도 달도 반달 영천도 반달 쪽귀신에 저고리 사돈네 빤뚜깨 고놈의 집에 가이끄세 양치 자반 놔두고 나를 한 줌 안 주고 우리 집에 와 봐라 구두 박씨 주까봐 (반복) <경주 동요-다리세기> 옹기 종기 범의 개야 느그 서방 어데 갔노 신산에 갔다 오거들랑 죽도 밥도 주지 말고 삽작 밲에 쫓아내라 (반복) <성주 동요-다리세기> 이박 저박 꼰두박 둘러 처기 뚜름박 장모 할마이 캥작쿵 처남 매부 날라리 (반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