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아동놀이노래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0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 02월 14일 제주 북제주에서 기록한 동요-옛날뒷날이다. 한국민요대전: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CD 12장, 235곡) 는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에서 일부 악곡을 선정하여 2000년 9월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진성효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진성효 |
해설 | 가난한 집의 가장이 밥이 적다고 아내를 때린 것이 연쇄작용을 일으켜 결국 아까운 좁쌀이 쏟아져 닭 뱄속으로 들어가고 말았다는 내용의 노래. |
가사 | 옛날 뒷날 환상보리1) 한 뒈 타단
앙작 고레2)에 벌작 노래3)에 달음닫는4) 족박에 빌5)보는 집에 멍먹 골안6) 밥은 허난7) 조그만 아방 한적8) 어멍 한적 아덜 한적 메누리 한적 아방은 족으난9) 어멍을 떠리난10) 어멍은 용심나난11) 아덜을 떠리난 아덜은 용심나난 지 각씰12) 떠리난 지 각씬 용심나난 갤13) 떠리난 갠 용심나난 고낭일 무난14) 고낭인 용심나난 중일 무난15) 중인 용심나난 조쿠덕을 솓아부난16) 독 배소구베17) 독 배소구베! “경 허드라18) 헙니다.”(웃음) 1)환상(還上)보리: 빌려다 먹고 농사지어 되갚는 보리. 2)앙작 고레: '앙작'은 어린애가 울부짖는 모양. 곡식이 없어 빈 맷돌이 돌아가느라 요란한 소리가 나는 것을 비유함. 3)벌작노래: '벌작'은 몸부림. 노래소리를 몸부림으로 비유함. 4)달음닫는: 달음질치는. 5)빌→별. 6)골안→갈아서. 7)밥은 허난→밥을 하니. 8)아방 한적: 아버지 한 숟갈. 9)으난→적으니. 10)떠리난→때리니. 11)용심나난: 화가나니. 12)지 각씰: 자기 아내를. 13)갤→개를. 14)고낭일 무난→고양이를 무니. 15)중일 무난→쥐를 무니. 16)조쿠덕을 솓아부난: 좁쌀 구덕을 쏟아버리니. 17)독 배소구베: 닭 뱃속에. 닭이 쏟아진 좁쌀을 다 쪼아먹어버렸다는 뜻인 듯. 18)경 허드라→그리 하더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