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설명 |
본 자료는 조선민요선(朝鮮民謠選) 도서이다. 조선민요선은 김소운(金素雲)의 것과 임화(林和), 이재욱(李在郁)의 책으로 나뉜다. 본 자료는 1933년 김소운이 일본 동경의 암파문고(巖波文庫)에서 펴낸 조선민요선이다. 김소운의 조선민요선은 자신의 언문조선구전민요집(諺文朝鮮口傳民謠集)에서 일부분을 뽑아서 스스로 일본어로 번역하여 일본에서 출간한 것이다. '서정가(抒情歌)’로는 모시 도포·댕기·월하화(月下花)·상추밭·추천(鞦韆)·장일(長日)·총각노래·큰아기·좌수 별감·김활양·반달·노처자·총각색시·배 좌수 딸·은실금실·달내·달·강실 도령이 채집되었다. '결혼(結婚)·가정(嘉靖)에 관한 가요(歌謠)’라는 제목의 석별가(惜別歌)로는 시집가든 석 달 만에·은잔(銀盞)·장가가네·계녀가(誡女歌)·무남독녀·시집고(苦)·앞돌쪽 됫돌쪽·시집사리·심술·시집온 지 사흘 만에·시앗·할머니·거미·달도·시집, 그리고 ‘사친가(思親歌)’로는 울 어머니·쟁피노래·부모님 찾는 노래·우지 마라·평양 감사 맏딸 애기·어버이 생각·다방 머리·어버지와 어머니·타복네야·압팡년아·엄마 찾어주오·복술개야·화초숭가·가지 마라가 채집되었다. '자탄가(自嘆歌)’로는 하늘 같은 가장·호반들아·날 찾거든·까상사리·팔자·상금상금·팔자타령이 채집됐고, ‘서경요(敍景謠)’로는 꽃노래·세화편(細花片)·춘산(春山)·밤꽃·신월(新月)·뽕나무·들장미·콩노래·가시꽃·제비노래·망개·별·풀각시·초생달·명주애기가 채집됐으며, ‘풍유가(諷喩歌)’로는 낙낙새·박 첨지·등타령·통·통타령·노리개·중아·복송·떡노래·중대가리·감투 잃고·모밀꽃·힌하라바니가 채집되었다. ‘노동가요(勞動歌謠)’로는 이앙가(移秧歌)·채채가(採菜歌)·기직(機織)노래·참메나리·짐매는 노래·점심·매물노래·베틀·망질노래·모심기·깜동부씨·벼틀가·밈경밈경·목화(木花)·안동이안·베틀타령·와그락청·이앙가·기날이·베틀·새 쫓기·힘(力)·연(蓮) 뽑는 처녀·우리 아배·정자·방아타령·베틀노래가 채집됐고, ‘서사가요(敍事歌謠)’로는 오월단오(五月端午)·은침(銀針) 닷 동·옹기장사·나물노래·쇠타령·뚝노래·강강수월래·쪽기자랑·뽕타령·녹두새야·담배·뱃사공노래·거무타령·나물노래·그 말 마라·둥애따기·줌치·부엉이노래·창세가(創世歌)·담배노래가 채집되었다. ‘잡요(雜謠)’로는 외·신·댕기수건·꿈·동배떼기·꾹꾹새·낙숫때·장타령·주초 닷 말·비들기·중노래·추천·녯녀 청년의 소원·땅개비·쾌지랑칭칭·수박처세·무도한중·대밭·큰아기·장타령이 채집됐다. ‘제주도민요(濟州道民謠)’는 김태준이 제공하였는데, 방엣노래와 가렛노래·답전가(踏田歌)·타곡가(打穀歌)·제초가(除草歌)·해녀가(海女歌)·선가(船歌)·매장가(埋葬歌)·자장가가 채집되었다. 끝에는 이재욱의 「조선민요서설(朝鮮民謠序說)」이 부록으로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