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예정전시

> 전시 > 기획전시 > 현재/예정전시

인쇄 공유하기

태평계태평太平繼太平: 태평성대로 기억된 18세기 서울 (상세내용은 본문 참조)

태평계태평太平繼太平: 태평성대로 기억된 18세기 서울

전시기간
2024-12-13 ~ 2025-03-09
전시장소
서울역사박물관 기획전시실A
담당부서
전시과

전시소개

‘태평성대(太平聖代)’는 어진 임금이 다스려 백성들이 평안한 시대를 의미합니다.

매일같이 전쟁과 분열의 뉴스를 접하는 현대인들에게는 먼 이상향처럼 느껴질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역사를 되돌아보면 태평성대로 기억된 시대들이 적지 않습니다.

사람마다 조금씩 다르게 생각할 수 있지만, 조선 시대에는 영조와 정조의 시대가 태평성대로 꼽힙니다.

 

이번 전시는 역사적 중흥기로 기억되는 18세기 서울을 조명합니다.

‘탕평(蕩平)’을 이념으로 삼아 변혁을 일으키고 백성의 삶을 개선하려 했던 두 군주의 시대,

태평성대로 기억되는 18세기 서울의 도시풍경이 여러분을 맞이합니다.

 

- 전시명 : 2024년 특별전 ‘태평계태평太平繼太平: 태평성대로 기억된 18세기 서울'

 

- 기간 : 2024. 12. 13.(금) ~ 2025. 3. 9.(일)

 

- 장소 : 서울역사박물관 기획전시실A

 

- 전시품: <도성대지도>(서울시유형문화유산) 등 200건 ※ 국가·시도지정문화유산 11건 포함

 

 

전시물

<한양 전경도>

<한양 전경도> 

작자 미상 조선 19세기 초반 국립중앙박물관 한양의 도시 풍경을 한눈에 담은 그림이다. 18세기 후반, 한양은 시장 경제의 발달로 인구 30만 명에 이르는 대도시로 성장했다. 응봉 아래 중층으로 그려진 창덕궁 인정전과 원각사 백탑이 존재감을 드러내지만, 이 그림의 주인공은 숲처럼 빼곡히 들어선 민가와 그 속의 백성들이다. 이 그림은 화가가 누구인지 알 수 없으나, 진경산수화풍으로 남산 기슭에서 바라본 서울의 도시 풍경을 담아냈다. 

첨부파일
[서울역박]_태평계태평_포스터_1105_1.jpg (543 KB, image/jpeg, 다운 52 회)
서울역사박물관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