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 학술·자료 > 발간도서 > 전체

인쇄 공유하기

성북천 청계천 기획연구4 | Seongbukcheon 이왕무 유승희 문광균 류인태 정기황 | 청계천박물관 로고 1. 총론 이왕무(경기대학교) 2. 조선시대 성북천의 역사와 하천의 역할 유승희(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3. 조선시대 성북천변의 국가시설과 거주민의 생활상 문광균(충남역사문화연구원) 4.도성 방어와 어영청 둔토 이왕무(경기대학교) 5. 조선 후기 성북동 일대의 봄꽃 나들이와 누정 이야기 류인태(고려대학교) 6. 성북천 주변 도시변화 정기황(시시한연구소)

청계천 기획연구 4 - 성북천

 

-목차-

 

1장 총론

1. 조선시대 성북천의 유래와 변화 016
2. 성북천 시설과 경제생활 019
3. 성북 방어와 둔전 022
4. 성북천 유람과 문학 025
5. 일제 강점기와 도시화 027

 

2장 조선시대 성북천의 역사와 하천의 역할

1. 청계천의 제1지류, 성북천 032
2. 조선시대 성북천 주변의 모습 050
3. 성북천과 주변 지역의 역할 068

 

3장 조선시대 성북천변의 국가 시설과 거주민의 생활상

1. 국가와 왕실 공간으로서의 성북천변 082
2. 성북천변 점유과정과 행정구역 편제 100
3. 성북천 거주민의 국역 부담과 그 실상 114

 

4장 도성 방어와 어영청 둔토

1. 18세기 한양의 삼군영 배치와 성북의 방어 체계 130
2. 어영청의 성북 지역 주둔과 군사 시설 150
3. 성북 지역 어영청 둔토의 운영과 변천 162

 

5장 조선 후기 성북동 일대의 봄꽃 나들이 와 누정 이야기

1. 조선 후기 봄꽃 나들이의 랜드마크, 성북동의 탄생 182
2. 봄날 복사꽃 만개한 성북동 경관과 그 기록의 흔적 198
3. 성북동 일대에 자리했던 여러 누정에 관한 이야기 222

 

6장 성북천 주변 도시변화

1. 성북천 인근 마을의 시작: 돈암리, 성북리, 안암리 258
2. 성북천 주변 지역의 도시화: 경성시가지계획 266
3. 성북천의 복개: 상가아파트의 건설 302
4. 성북천의 복원: 주변 지역의 재개발 318

 

 

 

첨부파일
청계천박물관_2023_청계천_기획연구_4_-_성북천_표지.jpg (360 KB, image/jpeg, 다운 71 회) 청계천박물관_2023_청계천_기획연구_4_-_성북천_표지.jpg 청계천박물관_2023_청계천_기획연구_4_-_성북천_표지.jpg
청계천박물관_2023_청계천_기획연구_4_-_성북천.pdf (76 MB, application/pdf, 다운 412 회) 청계천박물관_2023_청계천_기획연구_4_-_성북천.pdf 청계천박물관_2023_청계천_기획연구_4_-_성북천.pdf
서울역사박물관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