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 MUSEUM OF HISTORY
서울역사아카이브 서비스입니다.
-
서울생활문화자료조사
13,165 건
-
서울시정사진
3,657 건
-
서울지도
592 건
-
근현대서울사진
5,463 건
-
서울발굴기록
2,679 건
-
서울미래유산기록
880 건
-
- 돈암
- 돈암지역은 일제강점기에 주택난 해소를 위해 개발된 신도시이다. 1960년대부터 상가아파트가 개발되고, 70~80년대 도시한옥 밀집지역이 재개발되면서 아파트와 다세대·다가구 주택이 들어섰다.
-
자세히 보기
-
- 노량진
- 노량진은 노량행궁이 있던 곳이자 한강철교가 놓인 곳으로 강남으로 넘어갈 수 있는 지역이었다. 해방 이후 피난민들이 들어와 거주하고 주요 , 학원들이 생기면서 ‘노량진 고시촌’ 을 형성했다.
-
자세히 보기
-
- 장위동
- 장위동은 지난 60여 년간 다양한 택지개발사업이 시행된 지역이다. 1958년 재건주택과 부흥주택, 1960년대 국민주택이 건설되며 도시화되었고, 2005년 이후 뉴타운 개발사업 대상지로 선정되면서 재개발되고 있다.
-
자세히 보기
-
- 신문로2가
- 신문로 2가는 조선시대 경희궁이 있었으나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인 관료 자녀들을 위한 경성중학교와 조선총독부 전매청 관사가 자리했다. 해방 이후에는 고급 주택지가 형성되었고, 현재는 서울역사박물관이 자리하고 있다.
-
자세히 보기
-
- 여의도
- 여의도는 국회의사당을 중심으로 정치지구, KBS를 위시한 방송업무지구, 금융산업이 밀집해 있는 금융업무지구, 아파트로 이루어진 주거지구, 세계 최대 규모의 교회, 여의도공원과 한강시민공원으로 이루어진 대규모 녹지지구가 자리 잡고 있는 지역입니다.
-
자세히 보기
-
- 서울, 폐허를 딛고 재건으로 1957-1966
- 전후복구 사업은 마무리되었으나 아직 도시 기반시설이 취약한 서울로 이촌향도의 폭발 적인 인구유입이 지속되었다. 서울은 바야 흐로 ‘만원도시’가 되어가던 때였다.
-
자세히 보기
-
- 돌격 건설! 1966-1970
- 김현옥 시장 재임 4년은 당시의 시정 구호 ‘돌격 건설’대로 서울의 대수술이 진행되던 시기였다. 오늘날 서울의 도시골격 상당부분 은 이 시기에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
자세히 보기
-
- 대서울 건설, 1970-1974
- ‘생활행정’이라는 시정구호 아래 지하철 건설 등 시민들의 생활을 지탱하는 도시 기반시설을 확충하기 위한 사업들이 진행 되었다.
-
자세히 보기
-
- 가자! 강남으로, 1974-1978
- 1960년대 말부터 시작된 강남개발은 1970 년대 중반에 이르러 빛을 보게 된다. 아파트 지구 지정, 명문학교 이전 등으로 ‘신천지’ 강남을 찾아 사람들이 모여들게 되었다.
-
자세히 보기
-
- 1908 한성부 지적도
- 한성부지적도는 1908년 근대적 실측을 통해 탁지부에서 제작한 1:500의 대축척 지적도이다. 현존하는 최고의 정밀 측량 서울 지적도이자 일제강점기 지적원도의 원형으로 전통에서 근대로 변화해가던 20세기 초 서울의 모습을 보여주는 구체적 시각 자료이다.
-
자세히 보기
-
- 서울 고지도
- 흔히 도성도로 불리는 서울 옛지도는 서울을 둘러싸고 있는 산세를 전통적인 회화기법으로 묘사하고 있으며, 그 안에 지명, 관청, 주요 길, 하천, 다리 등 도성 내외부의 인문지리 정보를 풍부하게 담고 있다.
-
자세히 보기
-
- 서울 근현대지도
- 일제강점기 및 해방 후 현재까지의 근현대 서울지도를 통해 서울의 시역과 시가지 확대 모습 등 도시서울의 변천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
자세히 보기
-
- 전국지도
- 지리정보 뿐 아니라 전국 각지의 유적과 인물 등을 기록한 조선팔도고금총람도, 전국의 군 현과 도로, 섬의 위치와 크기까지 자세하게 표기한 동국대지도 등 고지도 뿐 아니라 다양 한 근현대 전국지도를 볼 수 있다.
-
자세히 보기
-
- 세계지도, 외국지도,
서양고지도 - 한국에서 독특하게 발달한 세계지도인 원형 천하도를 비롯하여, 17세기 이후 전래된 서구 식 세계지도의 영향 하에 그려진 조선시대 세 계지도, 중국지도, 서양고지도 등을 담고 있다.
-
자세히 보기
- 세계지도, 외국지도,
-
- 경성유람버스
- 1928년 설립된 경성자동차주식회사는 경성 관광을 위해 숭례문, 창경궁, 파고다공원, 덕 수궁 등 시내 주요 코스를 자동차로 안내하는 경성유람버스를 운영하였다.
-
자세히 보기
-
- 서울의 가로경관
- 경성시구개정사업에 의해 서울의 주요 간선 도로는 도로 폭이 확장되고, 노선이 확대되었 다. 이 과정에서 도성의 주요 성문과 주변 성벽 들이 파괴되거나 철거되었다.
-
자세히 보기
-
- 장인
- 갓장인, 대장장이, 죽세공 장인 등 일상생활 에서 필요한 여러 물건들을 전문적으로 제작 하거나 수리하는 장인들을 통해 근현대 수공 업과 노동현장을 살펴볼 수 있다.
-
자세히 보기
-
- 철도
- 1899년 경인선이 개통되면서 전통적인 교통 체계에 전면적인 변화가 발생하였다. 뒤이은 한강철교의 건설로 서울은 철도를 통해 지방은 물론 외국과도 연결할 수 있게 되었다.
-
자세히 보기
-
- 학교생활
- 19세기 말 문호가 개방되면서 근대교육 기관 이 등장하였다. 이에 따라 학생들은 과학, 실업 등 신교육을 받게 되었으며, 특히 여학생에게 는 가사, 재봉 등의 기예 교육이 주어졌다.
-
자세히 보기
-
- 종묘광장
- 2008년 11월부터 2011년 2월까지 약 7,000㎡ 발굴조사를 통해 외대문지구, 종묘앞길지구, 시전행랑지구, 회동·제생동천지구를 발굴조사하였다.
-
자세히 보기
-
- 의정부지
- 2016년부터 2019년까지 4년에 걸친 발굴조사를 통해 19세기 중반에 새롭게 만들어진 의정부의 건물이 있었던 흔적을 확인하여 현재는 유구전시장을 조성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
-
자세히 보기
-
- 중앙광장·회현자락
- 2013년 6월부터 2016년 6월까지 발굴조사를 통해 일제강점기에 훼손되었던 한양도성의 성곽 189m를 확인하였고, 그 자리에는 현장유적박물관이 만들어지고 있다.
-
자세히 보기
-
- 백범광장
- 2009년 12월부터 2011년 8월까지 발굴조사를 통해 한양도성의 성곽 42.4m를 새롭게 확인하였고 아동광장의 성곽과 함께 복원하여 공원으로 조성되어 활용되고 있다.
-
자세히 보기
-
- 아동광장
- 2009년 3월부터 2010년 1월까지 발굴조사를 통해 멸실된 것으로 알려졌던 한양도성의 성곽 34m를 확인하였고 그 자리에 복원하여 공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