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정사진

  • 서울시정사진
  • 촬영연도별
  • 1973-1974
공유하기
통합검색

e-book 보기

1973-1974 이미지 수도권 전철 개통, 1974.8.15.
서울의 1960~70년대는 '도시기반 건설'이라는 공통된 과제를 부여받은 시기였다. 김현옥 시장에서 양택식, 구자춘 시장으로 이어지는 서울 시정은 도로와 교량 건설, 택지 개발 등의 사업을 연장선상에서 추진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각 시장의 임기별로 특징적인 사업 추진이 이루어졌다. 김현옥 시장 시기에는 한강 종합개발계획과 여의도 개발, 입체 고가도로 건설 등을 통한 국가 수도 면모 쇄신이 부각된다면, 양택식 시장 시기에는 지하철 건설, 아파트 개발, 공원 건설, 수도 증산과 같이 서민 생활과 직결된 사업에 집중했던 시기라고 할 수 있다. 특히 1974년 지하철 개통은 서울의 교통 역사에 있어 일대 혁신이었다. 서울시는 교외에 주택지를 건설하고 지하철로 출퇴근 인파를 감당함으로써 교통난을 일정 부분 해소할 수 있었다. 그렇게 시작된 지하철 노선 건설은 현재 서울의 구석구석을 촘촘히 수놓게 되었다.

지금의 강남을 있게 한 영동 구획정리 사업과 도심부 재개발이라는 시책도 양택식 시장 재임기에 시작되었다. 소공·무교 지구를 시작으로 서울역~서대문, 을지로 1가, 장교, 다동, 서린 등의 구역이 재개발 지역으로 지정되어 소방도로를 확보하고 불량 건물을 정리했으며, 그 자리는 대형 고층 빌딩이 대신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철거민 문제 등 도시개발의 역기능이 대두되기도 하였다.

[페이지 : 1/26] [전체목록 : 258건]

  • 1973-74년 당시 계획된 개량주택의 평면도

  • 1973년 각 구청 초도순시

  • 1973년 초 당시 개발완료된 동부이촌동 한강맨션아파트...

  • 1973년도 민방공 훈련

  • 1973년도 민방공 훈련

  • 1973년에 수립된 주택개량계획의 조감도

  • 1974년 1월 당시 금호지구 현황

  • 가상전시체제를 설정하고 이에 대비한 을지훈련(CPX)의...

  • 가상전시체제를 설정하고 이에 대비한 을지훈련(CPX)의...

  • 간선가로 확정대상 노선

TOP